규칙을 위한 3가지 규칙
1. 규칙은 무조건 따라라! 규칙을 지키는데엔 이유가 필요없다.
2. 규칙을 만들땐 아주 중요한 이유가 필요하다. 이것이 성립되야 1이 성립된다.
3. 규칙을 어길땐 2번보다 더 중요한 이유가 필요하다.
2013년 11월 11일 월요일
토론할때 토론의 목적을 망치지 않고 상대에게 반박하는 법
말 끊을 때
1. 상대 논리의 전제조건을 부정한다.
2. 상대의 논리 구조를 부정한다.
(위의 두가지 경우를 제외하고 절대 말을 자르지 않는다.)
끝까지 들어야 하는 경우
3. 상대가 내린 결론을 부정한다.
기타
1.2.3. 에 해당하지 않으면 그냥 패배를 인정한다.
토론은 두명 이상의 사람이 논의 끝에 서로에게 더 좋은 방안을 찾아가는 방법이다.
위에 '패배를 인정한다.' 라고 적었는데 실제로는 패배가 아니다. 더 좋은 방법을 찾은거지 하지만 대부분 사람을 쓸데없는 말꼬리잡기 따위로 토론의 본질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많다. 결론은 안나고, 서로 피곤하고, 마음 상하고...
특히 내 주변사람과 토론해보면 말 자르는게 존나 많은데
전제조건을 이야기 하는중에 내가 말하지도 않은 결론을 부정한다.
근데 또 듣고보면 내가 말할려던 결론을 부정하는거도 아니다.
결국 다시 거기에 대해 이야기하면 토론의 주제와는 한발 멀어진 이야기따위나 하게 된다.
한참동안 하찮은 말다툼 따위나 하다가
얻은 것 도 없고 피곤해진 상태로 끝을 보게된다.
그러니까 결론을 부정할꺼면 상대방이 적어도 결론 내릴 때 까지는 기다려 주자
그리고 보통은 생각을 끝내고 말하는게 아니라 생각을 하는 도중에 말하기 때문에 상대방도 말 하면서 생각을 정리하게 된다.
이런 부분 하나하나가 더 좋은 토론의 결과를 이끌어 낸다.
(그냥 시시한 말다툼을 하는거면 말자르고, 소리지르고, 물타기하고, 주제를 흐리면 이긴다.)
말 끊을 때
1. 상대 논리의 전제조건을 부정한다.
2. 상대의 논리 구조를 부정한다.
(위의 두가지 경우를 제외하고 절대 말을 자르지 않는다.)
끝까지 들어야 하는 경우
3. 상대가 내린 결론을 부정한다.
기타
1.2.3. 에 해당하지 않으면 그냥 패배를 인정한다.
토론은 두명 이상의 사람이 논의 끝에 서로에게 더 좋은 방안을 찾아가는 방법이다.
위에 '패배를 인정한다.' 라고 적었는데 실제로는 패배가 아니다. 더 좋은 방법을 찾은거지 하지만 대부분 사람을 쓸데없는 말꼬리잡기 따위로 토론의 본질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많다. 결론은 안나고, 서로 피곤하고, 마음 상하고...
특히 내 주변사람과 토론해보면 말 자르는게 존나 많은데
전제조건을 이야기 하는중에 내가 말하지도 않은 결론을 부정한다.
근데 또 듣고보면 내가 말할려던 결론을 부정하는거도 아니다.
결국 다시 거기에 대해 이야기하면 토론의 주제와는 한발 멀어진 이야기따위나 하게 된다.
한참동안 하찮은 말다툼 따위나 하다가
얻은 것 도 없고 피곤해진 상태로 끝을 보게된다.
그러니까 결론을 부정할꺼면 상대방이 적어도 결론 내릴 때 까지는 기다려 주자
그리고 보통은 생각을 끝내고 말하는게 아니라 생각을 하는 도중에 말하기 때문에 상대방도 말 하면서 생각을 정리하게 된다.
이런 부분 하나하나가 더 좋은 토론의 결과를 이끌어 낸다.
(그냥 시시한 말다툼을 하는거면 말자르고, 소리지르고, 물타기하고, 주제를 흐리면 이긴다.)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