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칙을 위한 3가지 규칙
1. 규칙은 무조건 따라라! 규칙을 지키는데엔 이유가 필요없다.
2. 규칙을 만들땐 아주 중요한 이유가 필요하다. 이것이 성립되야 1이 성립된다.
3. 규칙을 어길땐 2번보다 더 중요한 이유가 필요하다.
2013년 11월 11일 월요일
토론할때 토론의 목적을 망치지 않고 상대에게 반박하는 법
말 끊을 때
1. 상대 논리의 전제조건을 부정한다.
2. 상대의 논리 구조를 부정한다.
(위의 두가지 경우를 제외하고 절대 말을 자르지 않는다.)
끝까지 들어야 하는 경우
3. 상대가 내린 결론을 부정한다.
기타
1.2.3. 에 해당하지 않으면 그냥 패배를 인정한다.
토론은 두명 이상의 사람이 논의 끝에 서로에게 더 좋은 방안을 찾아가는 방법이다.
위에 '패배를 인정한다.' 라고 적었는데 실제로는 패배가 아니다. 더 좋은 방법을 찾은거지 하지만 대부분 사람을 쓸데없는 말꼬리잡기 따위로 토론의 본질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많다. 결론은 안나고, 서로 피곤하고, 마음 상하고...
특히 내 주변사람과 토론해보면 말 자르는게 존나 많은데
전제조건을 이야기 하는중에 내가 말하지도 않은 결론을 부정한다.
근데 또 듣고보면 내가 말할려던 결론을 부정하는거도 아니다.
결국 다시 거기에 대해 이야기하면 토론의 주제와는 한발 멀어진 이야기따위나 하게 된다.
한참동안 하찮은 말다툼 따위나 하다가
얻은 것 도 없고 피곤해진 상태로 끝을 보게된다.
그러니까 결론을 부정할꺼면 상대방이 적어도 결론 내릴 때 까지는 기다려 주자
그리고 보통은 생각을 끝내고 말하는게 아니라 생각을 하는 도중에 말하기 때문에 상대방도 말 하면서 생각을 정리하게 된다.
이런 부분 하나하나가 더 좋은 토론의 결과를 이끌어 낸다.
(그냥 시시한 말다툼을 하는거면 말자르고, 소리지르고, 물타기하고, 주제를 흐리면 이긴다.)
말 끊을 때
1. 상대 논리의 전제조건을 부정한다.
2. 상대의 논리 구조를 부정한다.
(위의 두가지 경우를 제외하고 절대 말을 자르지 않는다.)
끝까지 들어야 하는 경우
3. 상대가 내린 결론을 부정한다.
기타
1.2.3. 에 해당하지 않으면 그냥 패배를 인정한다.
토론은 두명 이상의 사람이 논의 끝에 서로에게 더 좋은 방안을 찾아가는 방법이다.
위에 '패배를 인정한다.' 라고 적었는데 실제로는 패배가 아니다. 더 좋은 방법을 찾은거지 하지만 대부분 사람을 쓸데없는 말꼬리잡기 따위로 토론의 본질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많다. 결론은 안나고, 서로 피곤하고, 마음 상하고...
특히 내 주변사람과 토론해보면 말 자르는게 존나 많은데
전제조건을 이야기 하는중에 내가 말하지도 않은 결론을 부정한다.
근데 또 듣고보면 내가 말할려던 결론을 부정하는거도 아니다.
결국 다시 거기에 대해 이야기하면 토론의 주제와는 한발 멀어진 이야기따위나 하게 된다.
한참동안 하찮은 말다툼 따위나 하다가
얻은 것 도 없고 피곤해진 상태로 끝을 보게된다.
그러니까 결론을 부정할꺼면 상대방이 적어도 결론 내릴 때 까지는 기다려 주자
그리고 보통은 생각을 끝내고 말하는게 아니라 생각을 하는 도중에 말하기 때문에 상대방도 말 하면서 생각을 정리하게 된다.
이런 부분 하나하나가 더 좋은 토론의 결과를 이끌어 낸다.
(그냥 시시한 말다툼을 하는거면 말자르고, 소리지르고, 물타기하고, 주제를 흐리면 이긴다.)
2013년 7월 29일 월요일
채찍과 당근??
사람은 이성적이지 못할때가 많다.
대표적으로 심리적으로 약할때
(잘못이나 실수로 인해, 또는 불운으로 인해 벌칙을 받아야 할 경우)
더욱 이성적인 판단을 하지 못한다.
이 때
원래의 목표나 자신의 능력이나 현재상황에 대한 분석이나 어쨋든 잘못을 만회할만한 그 어떤것을 제대로 찾아내지 못한다.
대부분은 눈앞에 보이는 명예의 손실을 어서 만회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중간부터 자신의 주장이 틀린걸 알아챗지만 멍청이가 될 까봐 (혹은 멍청이 취급 받을까봐)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다.
심지어 잘못을 인정하고 되돌리기 가장 좋은 때라는걸 이성적으로 알면서도 심리적 부담감 때문에 생각을 행동에 옮기지 못한다.
우리 주변에는 나 자신을 포함하여 실수투성이의 사람이 많다.
그리고 그 사람을 위해 충고하지만
충고에는 기본적으로 상대의 잘못을 지적하는것이 깔려있고 이것은 상대의 자존심을 회손시킨다.
충고를 하는 자리에 따라서는 충고를 받아들이는 사람이 주변사람들에게 모자란 사람으로 보일 수 있다.
만약에 실수한 사람이 실수를 극복하고 더 성장하길 바란다면
충고 보다는 위로부터 시작해라.
당신에게 공격의사가 없더라도
충고는 실수에 대한 비난이 '반드시'포함되며, 특히나 심리적으로 약한 상태에 있는 사람들에겐 충고를 받아들이기 쉽지않다.
(충고할때 가장 많이 듣는 변명이 뭘까? 확실하지는 않지만, "나도 아는데 몸이 안따라주는걸 어쩌냐?" 이런거 아닐까? 진짜 모든 실수나 과오가 어리석음에서 시작될까?)
실수를 했다는걸 본인이 알아 챈 순간
자신의 명예를 위해 심리적 방어막을 치기 시작한다.
(어쩔수 없었어, 내 상황에선 이게 맞았어, 내 판단은 이런 부분에선 옳았어 등등)
충고 한 사람은 자신이 틀린말을 한게 아니기 때문에 상대의 반박을 이해하기 어렵다.
결국 둘은 싸운다.
충고한 쪽은 자신의 주장이 옳기때문에 물러서지 않는다.
심장박동수가 올라가고 목소리가 커진다.
충고 받은쪽은 자신의 실수를 인정하지만 이렇게까지 화내는 상대방을 이해하지 못한다.
실수한쪽은 자기가 잘못했다는걸 안다. 그리고 그거때문에 이미 스스로를 비난하는 중이다.
(난 왜 이런 멍청한실수를 했지 ㅜㅜ)
결국은 충고 한쪽도 충고 받은쪽도 서로 상처만 받는다.
아무런 발전적인 결과물을 이끌어 내지 못한 채
이제 실수한쪽은 실수를 무서워하며 같은 실수를 저지를 때 이성이 마비되기 시작한다.
충고하는 사람에게 자신의 실수를 알리고싶어하지 않는다. 설령 그게 진짜 좋은충고라고 하더라도
이제 두 사람의 심리적 거리는 멀다.
그리고 얻는 것은 없고 잃은 것만 있다.
충고 이전에 필요한것이 있다.
상대가 실수를 했을 때 인정하고 먼저 가르침을 받기위해 다가오도록
'심리적으로 가까워질 필요'가 있다.
그게 안되면 제아무리 천재든 명성이높든 성공한 사람의 충고라 해도 좋은 결과를 이끌어내기는 쉽지 않다.
보통의 사람은
옳은 말보다
가까운 말을 따라가게 되 있다.
그러니까 먼저 심리적 거리를 줄일 필요가 있다
대표적으로 심리적으로 약할때
(잘못이나 실수로 인해, 또는 불운으로 인해 벌칙을 받아야 할 경우)
더욱 이성적인 판단을 하지 못한다.
이 때
원래의 목표나 자신의 능력이나 현재상황에 대한 분석이나 어쨋든 잘못을 만회할만한 그 어떤것을 제대로 찾아내지 못한다.
대부분은 눈앞에 보이는 명예의 손실을 어서 만회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중간부터 자신의 주장이 틀린걸 알아챗지만 멍청이가 될 까봐 (혹은 멍청이 취급 받을까봐)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다.
심지어 잘못을 인정하고 되돌리기 가장 좋은 때라는걸 이성적으로 알면서도 심리적 부담감 때문에 생각을 행동에 옮기지 못한다.
우리 주변에는 나 자신을 포함하여 실수투성이의 사람이 많다.
그리고 그 사람을 위해 충고하지만
충고에는 기본적으로 상대의 잘못을 지적하는것이 깔려있고 이것은 상대의 자존심을 회손시킨다.
충고를 하는 자리에 따라서는 충고를 받아들이는 사람이 주변사람들에게 모자란 사람으로 보일 수 있다.
만약에 실수한 사람이 실수를 극복하고 더 성장하길 바란다면
충고 보다는 위로부터 시작해라.
당신에게 공격의사가 없더라도
충고는 실수에 대한 비난이 '반드시'포함되며, 특히나 심리적으로 약한 상태에 있는 사람들에겐 충고를 받아들이기 쉽지않다.
(충고할때 가장 많이 듣는 변명이 뭘까? 확실하지는 않지만, "나도 아는데 몸이 안따라주는걸 어쩌냐?" 이런거 아닐까? 진짜 모든 실수나 과오가 어리석음에서 시작될까?)
실수를 했다는걸 본인이 알아 챈 순간
자신의 명예를 위해 심리적 방어막을 치기 시작한다.
(어쩔수 없었어, 내 상황에선 이게 맞았어, 내 판단은 이런 부분에선 옳았어 등등)
충고 한 사람은 자신이 틀린말을 한게 아니기 때문에 상대의 반박을 이해하기 어렵다.
결국 둘은 싸운다.
충고한 쪽은 자신의 주장이 옳기때문에 물러서지 않는다.
심장박동수가 올라가고 목소리가 커진다.
충고 받은쪽은 자신의 실수를 인정하지만 이렇게까지 화내는 상대방을 이해하지 못한다.
실수한쪽은 자기가 잘못했다는걸 안다. 그리고 그거때문에 이미 스스로를 비난하는 중이다.
(난 왜 이런 멍청한실수를 했지 ㅜㅜ)
결국은 충고 한쪽도 충고 받은쪽도 서로 상처만 받는다.
아무런 발전적인 결과물을 이끌어 내지 못한 채
이제 실수한쪽은 실수를 무서워하며 같은 실수를 저지를 때 이성이 마비되기 시작한다.
충고하는 사람에게 자신의 실수를 알리고싶어하지 않는다. 설령 그게 진짜 좋은충고라고 하더라도
이제 두 사람의 심리적 거리는 멀다.
그리고 얻는 것은 없고 잃은 것만 있다.
충고 이전에 필요한것이 있다.
상대가 실수를 했을 때 인정하고 먼저 가르침을 받기위해 다가오도록
'심리적으로 가까워질 필요'가 있다.
그게 안되면 제아무리 천재든 명성이높든 성공한 사람의 충고라 해도 좋은 결과를 이끌어내기는 쉽지 않다.
보통의 사람은
옳은 말보다
가까운 말을 따라가게 되 있다.
그러니까 먼저 심리적 거리를 줄일 필요가 있다
피드 구독하기:
글 (Atom)